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건강검진을 받고 나면 결과지를 받게 되는데, 의학 용어와 수치들이 가득한 그 표를 보고 많이 당황하셨죠? '이 수치가 정상인가?', '이거 나쁜 건가?' 라는 걱정이 드는 분들을 위해 건강검진 결과표를 스스로 해석하는 방법을 쉽게 안내해드리겠습니다. 그리고 검사 받은 병원마다 검사 결과표는 상이하게 다를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건강검진 결과표 기본 구조 이해하기

    건강검진 결과표는 보통 다음과 같은 항목으로 나누어 집니다.

    • 검사 항목명
    • 검사 결과 수치
    • 정상 참고치
    • 판정(정상/주의/이상 등)

    가장 먼저 확인할 부분은 내 수치가 정상 참고 법위에 포함되는가입니다. 이 범위를 벗어났다고 해서 모두 질병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므로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.

     

    대표 항목별 해석법

    1.  간 기능 수치 (AST, ALT, y-GTP)
      - AST(GOT), ALT(GPT) : 간세포 손상 시 상승
      정상 수치 : 보통 0~40 U/L

      - y-GTP : 음주량과 관련 깊음
      정상 수치 : 남성 1065, 여성 1040 U/L

      ▶ 수치가 높다면?
      음주, 비만, 지방간, 간염 등 의심 가능
      ♠ 지방간/간염이 의심될 경우 정밀검사 권장

    2. 혈당 (공복 혈당)
      ● 정상 : 70~99 mg/dL
      ● 당뇨 전 단계 : 100~125 mg/dL
      ● 당뇨 : 126 이상

      ▶ 공복 혈당이 높다면 식이요법과 운동이 우선입니다.
      지속적으로 높을 경우 병원 진료가 필요할 것입니다.


    건강검진 결과표 해석하는 법건강검진 결과표 해석하는 법

    1. 콜레스테롤 수치
      ● 총콜레스테롤 : 200 mg/dL 이하
      ● LDL(나쁜 콜레스테롤) : 130 이하
      ● HDL(좋은 콜레스테롤) : 40D 이상
      ● 중성지방 : 150 이하

      ▶ 나쁜 콜레스테롤이 높고 좋은 콜레스테롤이 낮으면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.


    2. 혈압
      ● 정상 : 수축기 <120 / 이완기 <80
      ● 주의 단계 : 수축기 < 140 / 이완기 < 80
      ● 고혈압 : 수축기 < 140 / 이완기 < 90

      ♠ 병원에서 한 번 측정한 결과보다 집에서 여러번 측정한 평균값이 중요합니다.


    3. 체질량지수 (BML)
      ● 정상 체중 : 18.5 ~ 22.9
      ● 과체중 : 23 ~ 24.9
      ● 비만 : 25 이상

      ▶수치만으로 판단하지 말고, 복부 비만 여부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    건강검진 결과표 해석하는 법건강검진 결과표 해석하는 법

     

    결과지에 '유소견', '재검 권고'가 일을 때는?

    ● '유소견'은 단순 이상 가능성이 있다는 뜻입니다.

    ● 대부분 경우 정밀검사 또는 생활 습관 개선 후 경과 관찰로 해결됩니다.

    ▶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, 병원에서 담당의와 상담해보세요.

     

    건강검진 결과표를 쉽게 보는 요령 요약정리

    항목 정상 기준 체크 포인트
    AST 0~40 간 손상 여부
    혈당 70~99 당뇨 전단계 여부
    콜레스테롤 총 200 이하 심혈관 질환 위험
    혈압 120 이하 / 80 이상 고혈압 여부
    BMI 18.5~22.9 체중 관리 필요성

     

    정리를 하면서

    건강검진은 단순히 수치를 확인하는 것이 아닌, 앞으로의 생활습관을 점검하고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. 오늘 안내한 항목들만 정확히 이해해도 대부분의 결과지는 혼자서도 해석할 수 있습니다.

    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