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목차
1) 한눈에 보는 핵심 차이표
구분 | 알츠하이머병 (AD) | 파킨슨병 (PD) |
---|---|---|
주요 병리 | 베타 아밀로이드·타우 단백질 축적 → 신경세포 손상 | 흑질 도파민 신경세포 소실 → 운동 회로 기능 저하 |
초기 핵심 증상 | 최근 기억력 저하, 언어·판단력 저하 | 휴지기 떨림, 서동(느림), 경직, 자세 불안정 |
주 영향 부위 | 해마·대뇌피질 | 중뇌 흑질·기저핵 |
대표 검사 | 신경심리검사, MRI/PET, CSF(β-amyloid, tau) | 임상진단 중심, 필요 시 DaTscan (PD vs 본태성 떨림 감별) |
치료 접근 | 콜린에스터라제 억제제, NMDA 길항제, 항아밀로이드(예: 레카네맙, 도나네맙) | 레보도파, 도파민 작용제, 물리/운동치료, 심부뇌자극술(DBS) |
2) 알츠하이머: 증상 진행과 최신 치료
주요 증상 단계
- 경도: 최근 기억 저하, 단어 찾기 어려움, 익숙한 일 헷갈림
- 중등도: 시간·장소 혼동, 계산·판단 저하, 일상 기능 저하
- 중증: 전반적 의사소통 어려움, 보행·식사 보조 필요
치료 옵션(업데이트)
- 증상 조절 약물: 도네페질/리바스티그민(콜린에스터라제 억제제), 메만틴(NMDA 길항제).
- 질병 기전 표적:
- 레카네맙(Leqembi): 2023년 FDA 가속 → 2023년 7월 전통적 승인 전환(미국).
- 도나네맙(Kisunla): 2024년 7월 FDA 승인. 경도 인지장애/경도 치매 단계에서 시작 권장.
실전 팁: 항아밀로이드 치료는 적합성 평가(뇌 영상/CSF)와 이상반응(ARIA 등)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. 신경과 전문의와 적응증·보험 적용을 반드시 확인하세요.
3) 파킨슨병: 운동·비운동 증상과 근거 기반 관리
핵심 증상(운동)
- 휴지기 떨림(가만히 있을 때 떨림)
- 서동(동작이 전반적으로 느림)
- 근육 경직, 자세 불안정
비운동 증상
후각 저하, 변비, 수면장애(렘수면행동장애), 우울·불안, 인지저하 등이 흔합니다.
진단 포인트
- 임상 진단이 표준. 떨림 양상·서동·경직의 조합을 확인.
- DaTscan은 PD vs 본태성 떨림 감별에 도움(필수는 아님).
치료·재활
- 약물: 레보도파(표준), 도파민 작용제, MAO-B/COMT 억제제 등.
- 심부뇌자극술(DBS): 약물 변동·운동합병증이 클 때 고려, 장기 추적에서 운동 증상 개선 유지.
- 운동 요법: 주 150분(=2.5시간) 이상 유산소·근력·균형 훈련 권장. 2.5시간 이상일 때 삶의 질 저하 속도 감소.
4) 가정에서 바로 적용하는 예방·관리 전략
공통(두 질환 모두)
- 지중해식 식단: 채소·과일·콩·통곡·생선·올리브유 위주. 치매 위험과 연관 감소 보고(체계적 문헌고찰).
- 규칙적 운동: 유산소+근력+균형. PD는 주 150분 권장, AD도 인지 저하 속도 늦춤에 도움.
- 뇌 자극 활동: 독서, 악기, 새로운 기술·언어 학습, 사회활동 유지.
- 수면·만성질환 관리: 수면 7–8시간, 혈압·혈당·지질(특히 LDL) 관리.
알츠하이머 고위험군 체크
- 가족력, 경도인지장애 이력
- 중년기 고혈압·고지혈증, 당뇨, 비만
- 청력·시력 저하 방치, 사회적 고립
파킨슨 위험 신호 자가 점검
- 한쪽 손에서 시작되는 휴지기 떨림
- 걸음 보폭이 줄고 팔 흔들림 감소
- 후각 저하·변비·렘수면행동장애
바로 진료가 필요한 경우: 급격한 기억력 악화, 길 찾기 곤란, 새로운 강한 떨림/경직, 자주 넘어짐, 일상기능 급감.
5) 진료실에서 자주 받는 질문(FAQ)
Q. 알츠하이머와 파킨슨이 같이 올 수 있나요?
A. 가능합니다. 파킨슨병 환자에서 치매가 동반되는 ‘파킨슨병 치매’가 있으며, 감별과 맞춤치료가 필요합니다.
Q. 운동은 얼마나 해야 효과가 있나요?
A. PD는 주 150분(2.5시간) 이상이 권장됩니다. 강도는 개인 기능에 맞춰 유산소·근력·균형을 섞어 진행하세요.
Q. 항아밀로이드 치료는 누구나 받을 수 있나요?
A. 경도 인지장애/경도 단계에서 적합성 평가 후 결정합니다. 이상반응 모니터링과 보험 기준 확인이 필수입니다.
6) 체크리스트: 오늘부터 바꾸는 2주 루틴
- 월·수·금 30–40분 빠르게 걷기(가능하면 간헐적 조깅)
- 화·토 근력 20–30분(하체 위주, 균형 훈련 포함)
- 매일 채소 2종+과일 2회, 주 2–3회 생선, 가공식품 최소화
- 밤 11시 이전 취침, 수면 7–8시간
- 주 3회 인지 활동(퍼즐/독서/악기/새 기술 학습)
- 일주일에 한 번 가족·지인과 외출/모임으로 사회적 자극
'건강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매운거 먹고 설사할 때 배아픈 이유와 대처 방법 (4) | 2025.08.12 |
---|---|
혓바닥 백태 생기는이유와 제거 방법 (3) | 2025.08.09 |
눈앞에 아지랑이 어지럼증 비문증 원인과 치료 방법 (3) | 2025.08.05 |
건강에 좋은 복합 탄수화물 음식 추천 알아보기 (3) | 2025.08.02 |
혈관청소하는 방법 식단 가이드 혈관 막히기 전에 지키는 식탁 습 (2) | 2025.08.01 |